1. 줄거리
2014년 4월 그날 이후. 갑자기 세상을 먼저 떠난 어린 아들 '수호'에 대한 그리움을 가지고 살아가는 가족의 이야기입니다. 아빠 '정일'과 엄마 '순남'은 올해도 아들의 생일을 준비합니다. 수호가 없는 수호 생일. 가족들의 그리움은 나날이 커져만 갑니다. 가족과 친구들은 모두 함께 모여 서로의 마음속에 있는 특별한 기억을 선물하기로 합니다. 1년에 단 하루. 떠나간 수호를 위해. 우리 모두가 언젠가 다시 만나는 그날을 위해. 영원히 잊지 못할 수호를 위한 이야기입니다. 사고로 갑자기 가족을 잃은 사람들의 마음은 상상할 수 없을 만큼 괴로울 것입니다. 가족을 잃은 순간부터 그들의 삶은 완전히 바뀌어버립니다. 사랑하던 사람을 영원히 잃은 슬픔과 아픔, 그리고 그들의 향수와 추억들이 떠오르면서 더욱 괴롭고 어려워질 것입니다. 그들은 이제 그들의 가족과 함께할 수 없는 것에 대한 슬픔과 아픔, 미래에 대한 불안감, 그리고 그들이 이제 혼자서 모든 것을 이뤄내야 한다는 압박감을 느낄 것입니다. 이는 정신적으로나 심리적으로 큰 충격과 부담을 주며, 가족들과 함께한 기억이 더욱 아름답고 소중한 것으로 남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사고 이후에는 희생자 가족들에게 충분한 위로와 지원이 제공되어야 합니다.
2. 세월호
2014년 4월 16일, 대한민국의 세월호 여객선이 진도 앞바다에서 침몰하여 304명의 승객 중 대부분이 사망하는 대형 해상 참사 사건입니다. 세월호는 울산에서 부산으로 향하는 여객선으로, 탑승객들은 대부분 학생과 학부모, 그리고 교사들로 이루어진 당일치기 학교 수학여행을 떠난 중이었습니다. 그러나 세월호는 침몰당시 과적하고 불법 개조된 상태로 운항되어 안전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습니다. 사고 후 대한민국 정부와 구조요원들은 대규모 구조 작전을 진행했으나, 생존자를 발견하지 못하고 사망자 수가 계속해서 늘어나는 비극적인 상황이 이어졌습니다. 이후 사고원인과 책임 문제, 그리고 구조 작전 등에 대한 논란과 민·군 간 갈등 등이 지속되었으며, 사고 이후 국내외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세월호의 희생자들을 추모하며 안타까움을 나타냈습니다.
3. 캐스팅
제 포스팅을 보면 느끼시겠지만, 저는 전도연 배우를 정말 좋아합니다. 연기의 폭도 넓고, 그녀가 오랜 시간 쌓아온 탄탄한 내공이 주는 감동이 큰 배우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그녀도 이 작품을 선택하기까지 수많은 고민과 걱정을 했다고 합니다. 아무래도 실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고, 너무 마음 아픈 사건이다 보니까 부담이 되었나 봅니다. 과연 이 영화를 잘 감당할 수 있을까 하는 마음이 가장 컸을 거라고 생각됩니다. 실제로 영화 <생일>의 이종언 감독은 애초에 시나리오를 쓰던 시점부터 전도연 아니면 안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무조건 그녀가 연기해줘야 한다고 생각해서 캐스팅을 위해서 노력했다고 합니다. 결심이 필요했던 그녀는 여러 번 거절하였습니다. 하지만 포기하지 않고 끝없이 찾아온 감독을 보며 용기를 냈습니다. 후기를 쓰고 있는 지금 다시 생각해 봐도, 전도연만이 해낼 수 있는 영화라고 확신합니다. 이 영화에서 그녀의 연기는 압권입니다.
3. 총평
이 영화만큼은 꼭 극장에서 보고 싶은 마음이 컸습니다. 너무나 가슴 아픈 이야기입니다. 한국 국민이라면 잊을 수 없는 세월호 사건. 그 이야기가 영화로 만들어진다고 했을 때. 그리고 전도연 배우가 연기한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꼭 극장에서 봐야겠다고 다짐했습니다. 개봉하자마자 혼자서 조용히 극장에서 봤던 기억이 납니다. 정말 많이 울었습니다. 저만 그랬을까요. 모두가 같은 심정이었을거라 생각합니다. 2014년 세월호 사건 이후를 다룬 이 영화는 남겨진 그들의 이야기이자 또한 우리 모두의 이야기를 담담하게 그리고 있습니다. 개봉 당시에도 뜨거운 반응을 얻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극장에 혼자 가길 잘했다는 생각을 했었습니다. 정신없이 눈물이 났던 기억이 납니다. 하지만 슬픔이 전부가 아닌 영화입니다. 남겨진 우리들은 잊지 않아야 합니다. 다시 반복되지 않도록 대비해야 합니다. 올해도 어김없이 4월 16일은 다가올 것입니다. 누군가는 잊었을 수도 있을 날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이 날을 아마도 평생 잊지 못할 것입니다.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생충(PARASITE,2019) 박소담의 재발견 (0) | 2023.03.28 |
---|---|
극한직업(2019), 류승룡의 코믹연기 유쾌해 (0) | 2023.03.28 |
너의 이름은, 시간이 부리는 마법 (0) | 2023.03.27 |
러브 오브 시베리아, 참혹한 시대 속 로맨스 (0) | 2023.03.27 |
파벨만스, 스티븐 스필버그의 자전 (0) | 2023.03.27 |
댓글